알뜰교통카드(K패스) vs 기후동행카드 비교 분석

최근 대중교통이 인상하면서 알뜰교통카드와 기후동행카드가 출시되었는데요. 기본적으로 현재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 국토교통부의 ‘K-패스’, 경기도의 ‘더 경기패스’ 등의 교통비 할인 제도가 도입될 예정인데요. 과연 각각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어떤 것이 본인에게 더 유리한지 알아보겠습니다.

K패스

기존에 알뜰교통카드 사업이 변경되면서 K패스로 변경되었습니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최대 60회까지 요금의 일부를 다음 달에 돌려주는 교통카드입니다. 기본적으로 일반은 20%, 청년(19~34세)은 30%, 저소득층은 53%를 환급해 주도록 제작되었습니다.

현재 K패스는 인구 수가 10만명 이하인 일부 지자체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전국에서 쓸 수 있는 게 장점인데요. 서울에서만 가능한 기후동행카드와는 큰 차이점입니다. 일반 시내버스와 지하철뿐 아니라 GTX-A, 광역버스 이용 시에도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지역을 넘나드는 장거리 출·퇴근 이용자들에게 유리합니다.

K-패스의 최소 이용 조건은 월 15회입니다. 물론 회사원의 경우 기본적으로 출퇴근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무리가 없는데요. 월 15회 이하라면 환급이 되지 않습니다. 또한 60회가 넘을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60회 이상 사용한다면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니다.

기후동행카드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가 진행하는 교통비 절약 프로그램인데요. 기본적으로 월 6만2000원에 서울 시내 지하철, 버스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정기권의 개념입니다.

K패스와 달리 최저 탑승(15회), 최고 탑승(60회)의 제약이 없다는 점이 장점인데요. 추가적으로 6만5000원을 내면 공유자전거인 ‘따릉이’까지 이용 가능합니다.

그 뿐만 아니라 청년인 만 19~34세 청년에겐 7000원 할인까지 제공합니다. 서울 밖 구간은 원칙적으로 이용이 제한되는 것이 단점입니다. 출퇴근시 서울을 벗어난다면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때 추가금액이 나오게 됩니다.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 비교

둘을 비교해보면 무제한 교통카드인 기후동행카드가 횟수에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서울시내에서만 사용가능하다는 단점이 있구요.

기후동행카드, K패스

그렇기 때문에 본인이 기본적으로 기후동행을 탈꺼면 43회보다 많이 타는지 확인을 먼저 해보셔야 합니다. 본인의 할인 혜택을 고려하셔서 대략 1500원 구간인 경우 50회 이상 탑승하면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합니다.

그 뿐만 아니라 이번에 기후동행카드는 추가로 35∼39세 청년도 청년으로 추가하였는데요. 차량 보유 수가 다른 청년 연령대보다 월등히 많은 만큼 청년의 교통비 부담 완화와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35∼39세 청년 역시 일반권을 사용한 뒤 7월 이후 7천원(할인금액)에 만기사용개월수를 곱한 만큼의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현시점이 아니라 청년할인 적용 시작일인 2월 26일부터 시범사업 기간(6월30일까지) 내 이용한 금액을 모두 소급해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